평일:오전10시~오후9시/토·일·공휴일:오전10시~오후5시/365진료(설날·추석연휴만 휴진)/전화:031-205-7553


커뮤니티

COMMUNITY

커뮤니티

COMMUNITY

상담문의

031) 205-7553

교통사고 칼럼

교통사고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희수한의원
작성일21-07-15 13:40 조회2,155회

본문

  교통사고를 당하고 나면 물리적인 충격으로 인해 목, 허리를 비롯한 근골격계 증상들이 생기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충격도 상당하여 여러 증상들을 겪게 됩니다. 불면, 어지러움, 두근거림, 운전을 하거나 차를 타는 것에 대한 공포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증상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각하고 오래 가면 이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합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란 전쟁, 고문, 자연재해, 사고 등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심각한 사건을 경험하며 극심한 스트레스(정신적 외상)를 받고 발생하는 심리적 반응입니다. PTSD란 용어가 생긴 지는 베트남 전쟁 이후로 그리 오래 되지 않았습니다. 이전에도 1차 세계 대전에서 전투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전투를 지속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지는 것을 셀쇼크(Shell Shock)라 하였고 이후에도 여러 전쟁에서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사례들이 계속 나오면서 연구와 진단 및 치료를 통해 PTSD라는 용어와 그 정의가 확립되었습니다. 또한 전투에 참여하는 군인만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사고나 범죄, 재해를 겪은 뒤에 비슷한 증상을 겪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PTSD는 대중적인 질환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교통사고로 인한 PTSD

  교통사고로 인한 PTSD는 보통 사고 6개월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며 1달 이상 지속됩니다. 증상은 근육통, 두통, 두근거림, 불면, 공황장애, 무기력증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이중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플래시백으로 사고당시의 기억이나 상황이 의지와 상관없이 머릿속에 떠오르는 증상입니다. 호흡곤란이나 식은땀의 신체증상이 동반되기도 하며 운전대를 잡는다거나 사고로 인한 통증 발생 시 더 빈번하게 일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영유아, 소아는 PTSD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영유아, 소아의 경우 경미한 사고로 별다른 신체 증상이 없다 하더라도 불안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고 당시의 흔들림이나 소리, 이후 보호자의 반응들이 소아에게는 갑작스럽고 큰 충격으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몸무게가 적고 관절이 유연하여 사고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은 적게 발생하지만 불안감이나 공포는 훨씬 더 크게 받게 됩니다.

 

영유아, 소아의 자동차사고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의 대표적인 증상은 수면장애입니다. 잠들기 힘들어하는 입면장애 보다는 잠이 들고 금방 깨거나 악몽을 꾸거나 자면서 계속 뒤척이는 수면 유지 장애가 많이 발생합니다. 낮에 활동 시에도 사고에 대해 반복적으로 얘기 하거나 반대로 언급을 아예 피해 버리기도 하는 과잉 반응들이 나타나기도 하고, 차타는 것을 거부 하거나 차만 봐도 무서워하는 불안증상을 보입니다. 또한 부모와 떨어지려고 하지 않는 분리불안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나이가 어린 교통사고 환자의 경우 자극이 적은 피부침 치료를 시행하여 불안감을 줄이고 깊은 잠을 잘 수 있게 합니다.

 

성인의 자동차사고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성인의 경우에도 교통사고 후 불안이나 불면, 어지러움, 두근거림 등의 가벼운 신경정신적 증상들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는 사고로 인한 긴장으로 혈액순환이 저하되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과도해지면서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습니다. 어혈을 풀어주는 한약과 침구치료를 통해 컨디션을 개선하고 굳은 조직들을 풀어주면 대부분 며칠 이내로 호전됩니다. 하지만 심한 어지러움이나 구토가 계속되는 경우는 뇌진탕에 의한 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머리 쪽 영상촬영을 하여 이상소견을 빠르게 확인해야 합니다사고를 직접 당하지 않더라도 사고가 날 뻔한 위기를 겪거나 사고를 옆에서 목격한 경우에도 이러한 정신적인 충격은 동일하게 올 수 있습니다.

 

  사고로 인한 운동능력의 저하와 업무의 제한 역시 정신적으로 큰 부담을 주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체적인 증상이 오래 간다면 정신적인 충격에서도 빠져나오기 어려우므로 사고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서 회복 후 일상생활로의 빠른 복귀가 중요합니다. 저희 수원 영통 경희수한의원에서는 탕약처방, 추나요법, 침구치료로 단순히 통증감소 뿐만 아니라 불면, 두근거림, 어지러움 등의 증상도 종합적으로 같이 개선시켜 드립니다. 교통사고로 인한 몸의 통증을 치료 받으시면서 마음의 상처도 같이 회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왜? 경희수한의원?

교통사고 중점 치료 의료진이 여러분의 통증을 비롯한 교통사고 후유증의 빠른 회복에 도움을 드립니다.

Tel.031-205-7553   |   E-mail.kyungheesu@gmail.com
회사명 : 경희수한의원 | 대표자명 : 이재현 | 사업자등록번호 : 832-90-00179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봉영로 1612, 305호 (영통동, 보보스프라자)
COPYRIGHT 2020@ www.suwonaccident.com |   ALL RIGHTS RESERVED